본문 바로가기
건강지식

혈액투석이란? 원리, 과정 및 주의사항

by 건강한 널스 2025. 3. 9.

 

1. 혈액투석이란?

 혈액투석(Hemodialysis)은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가 체내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시행하는 치료 방법이다. 신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노폐물(크레아티닌, 요소 질소)과 과잉 수분이 몸에 축적되어 심각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The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2021) 연구에 따르면, 신장 기능이 15% 이하로 저하되면 투석 치료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2. 혈액투석이 필요한 경우

① 만성 신부전 (Chronic Kidney Disease, CKD)

  • 신장 기능이 지속적으로 저하되는 질환으로, 신장이 정상적으로 노폐물을 배출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2020) 연구에서는 CKD 환자의 신장 기능이 10~15% 이하로 저하될 경우 혈액투석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② 급성 신부전 (Acute Kidney Injury, AKI)

  • 갑작스러운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해 노폐물이 축적되는 상태이며, 심한 경우 혈액투석이 필요하다.

③ 신부전으로 인한 심각한 증상 발생

  • 심한 부종, 호흡 곤란, 혈압 상승, 전해질 불균형(특히 고칼륨혈증)이 발생할 경우 투석이 필요할 수 있다.
  •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2019) 연구에서는 혈중 칼륨(K) 수치가 6.5mmol/L 이상일 경우 즉각적인 투석이 필요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3. 혈액투석의 원리와 과정

① 혈액투석의 기본 원리

  • 투석기(Dialyzer)를 통해 혈액 속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 인공 신장의 역할을 하며, 삼투압과 확산의 원리를 이용하여 노폐물을 걸러낸다.

② 혈액투석 과정 (단계별 정리)

1️⃣ 혈관 접근 확보

  • 동정맥루(AV Fistula): 혈관을 확장하여 투석에 적합하게 만듦 (가장 권장됨)
  • 투석용 도관(Catheter): 응급 상황에서 임시로 사용

2️⃣ 혈액 정화 과정

  • 혈액이 몸에서 투석기로 이동하여 노폐물과 과잉 수분이 제거됨
  • 정화된 혈액이 다시 체내로 돌아옴

3️⃣ 전해질 및 수분 조절

  • 혈액 내 전해질(나트륨, 칼륨, 칼슘 등) 균형 유지

4️⃣ 투석 종료 후 관리

  • 혈압 및 혈액 상태 확인
  • 충분한 수분 보충 및 휴식

📌 Kidney International Reports(2020) 연구에서는 주 3회, 1회당 4시간 혈액투석이 일반적인 치료 기준이라고 발표했다.


4. 혈액투석의 장점과 단점

① 장점

  • 노폐물 및 수분 제거 효과
  • 급성 및 만성 신부전 환자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
  • 복막투석에 비해 감염 위험이 낮음

② 단점

  • 주 3회 병원 방문 필요 (시간적 제약)
  • 혈관 접근(AV Fistula) 수술 필요
  • 혈압 저하, 피로감 등의 부작용 발생 가능

📌 Clinic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2021)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환자의 60% 이상이 투석 후 피로감을 호소한다고 보고했다.


5. 혈액투석 환자의 생활 관리

① 적절한 식단 관리

  • 칼륨 제한: 바나나, 감자, 오렌지 섭취 제한
  • 인 제한: 유제품, 가공식품 섭취 줄이기
  • 나트륨 제한: 하루 2,000mg 이하(소금 5g 이하) 섭취

② 수분 섭취 조절

  • 투석 환자는 수분 배출 기능이 떨어지므로 하루 500~1000ml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권장된다.

③ 정기적인 혈액 검사 필수

  • 혈중 칼륨, 나트륨, 크레아티닌 수치 모니터링
  •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2022)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환자는 최소 월 1회 정기 검진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6. 결론 – 혈액투석이 필요한 경우와 관리법

 혈액투석은 신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 체내 노폐물을 제거하고 생명을 유지하는 필수적인 치료법이다.

 

혈액투석이 필요한 경우

  • 만성 신부전 4~5단계 (신장 기능 15% 이하)
  • 급성 신부전으로 인해 심각한 증상 발생

혈액투석 과정

  1. 혈관 접근 확보 (동정맥루 or 카테터)
  2. 혈액 정화 과정 (투석기 사용)
  3. 전해질 및 수분 균형 조절

혈액투석 환자 생활 관리

  • 칼륨, 인, 나트륨 제한
  • 수분 섭취 조절
  • 정기적인 혈액 검사

 올바른 관리와 생활 습관 조절을 통해 혈액투석의 부작용을 줄이고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